강진군, ‘고려청자 바가지 매입 논란’ 이쯤에서 끝내야

  • 강진군이 ‘고려청자 바가지 매입 논란’에 휩싸인 고려청자 원 소장자에게 법적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한다. 고려청자를 원소장자에게 돌려주고 바가지 쓴 비용 20억을 돌려받기 위한 소송이라고 했다. 기자는 강진군이 너무 정보에 어둡고 일부 군민의 주장에 매몰돼 상황판단을 제대로 못하는 것이 아닌 가 우려된다.


    누구를 신뢰하느냐의 문제
    2012년 2월 25일자 한국일보 기사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는 지난해 12월 최 씨에 대해 "3,000만원 수수 혐의가 인정 된다"며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2년, 추징금 3,000만원을 선고했고 현재 항소심이 진행 중인 상태다.”라고 보도하고 있다, 이 신문은 또 동일기사에서 “검찰은 당시 김 회장(김종춘 고미술협회 회장)으로부터 시가 5억 원에 달하는 도굴 문화재 34점을 압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협회 김 이사는 도굴품 판매 혐의로 구속됐다. 검찰은 또 김 회장이 의뢰인으로부터 돈을 받고 가짜 미술품을 진짜로 감정해 줬다는 문화재 감정 비리 의혹도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라고 전하고 있다.


    2009년 4월 14일자 한겨레신문 기사에 따르면 “문화재위원인 윤용이 명지대 교수와 최건 경기도자박물관장, 전문위원인 김영원 국립전주박물관장이 사전 조사했다. 그런데 지정가치가 없다고 모두 동의한 1점을 뺀 7점을 윤 위원은 지정 가치가 충분하다고 의견을 낸 반면, 다른 두 위원은 가치가 없다는 의견을 냈다.”
    ......(중략)......
    “정작 소위에서는 정양모 전 문화재위원장이 기법, 빛깔 등에서 신청 유물들이 진품이 아니라는 발언을 했고, 윤 위원이 근거를 대라고 반발하면서 한참 언쟁이 벌어졌다는 후문이다.”라고 보도하고 있다.


    2009년 ‘주간조선’ 2081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고미술품 감정의 객관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고미술협회와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2008년 7월엔 ‘가짜 백자를 진품이라 보증하는 허위감정서를 협회로부터 받은 뒤 거액을 받고 이를 골동품상에 넘기 혐의’로 전직 감정위원이 입건됐으며, 2007년 12월엔 ‘돈을 받고 가짜를 진품이라 감정해준 혐의’로 이 협회 감정위원이 구속됐다. 또 2002년 1월엔 ‘변조품을 진품이라 감정한 혐의’로 협회의 전 회장이 구속됐다.”


    위에 인용한 기사를 따르면 최건 씨는 ‘고려청자’ 건으로 피소돼 1심에서 실형을 선고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강진군 주장의 근거가 되고 있는 고미술협회는 크고 작은 비리로 실형을 선고 받은 일이 많고 현재도 감정 비리로 조사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일한 미술품을 두고 문화재위원들 사이에도 전혀 상반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즉 아직까지는 강진군이 고려청자를 매입할 때 바가지를 썼다는 주장만 있을 뿐 딱히 바가지를 썼다고 증명할만한 근거는 없다는 것이다. 정양모 관장의 말대로 “학자를 믿느냐 상인을 믿느냐”의 문제인 것이다.


    고미술협회의 진면목을 알고 싶다면 위에 인용한 ‘주간조선’의 기사를 읽어보기 바란다. 기사의 내용은 평소 최 건 씨가 기자에게 했던 얘기와 동일하다.


    강진군의 위험한 선택
    강진 군민 모 씨는 “강진군 공무원들이 고려청자 바가지 매입을 모두 실토했다”며 “20억을 돌려받아 그 돈으로 다른 청자를 사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는 얼마 전 모 공무원이 전임 군수에 대해 심하게  비난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 공무원은 전임군수 시절 내게 “일 잘하는 군수님에 대해 너무 나쁘게 하지 말라”고 한 인물이다.


    기자는 그의 말에 격세지감을 느꼈다. 권력의 향배에 따라 사람이 한 순간 이렇게 급변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어쩌면 그는 일부 강진군 공무원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렇게 변할 수 있는 것이 공무원이고 사람이다.


    한마디로 ‘고려청자 바가지 매입’에 관련 된 그들의 말을 액면 그대로 믿는 우는 범하지 말란 얘기다. 한번 한 거짓말 두 번 하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다.


    기자의 판단으로는 ‘민사소송’에서 강진군이 승소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바가지 매입에 대한 입증책임이 강진군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과는 끝을 봐야 아는 일, 강진군이 20억을 돌려받았다는 가정 하에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추측해 보자.


    강진군이 다시 고려청자를 구입한다면,  얼마 정도의 가격에, 어느 기관이 보증한 고려청자를 구입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만약 저가의 고려청자를 구입하게 되면 여타의 박물관과 차별화가 힘들 것이고 고가의 고려청자를 구입하게 되면 또다시 바가지 매입논란에 휘말릴 가능성이 있다. 그 중 최악의 시나리오는 당나귀 팔아 썩은 사과를 사오는 경우가 될 것이다. 즉 비싼 청자 팔아 가짜 청자 사오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고려청자를 구입하지 않는다면 두고두고 호사가들의 입에 오르내릴 것은 자명한 일이다.


    실리적 차원에서 해법을 찾아야
    원했던 원하지 않았던 강진군은 ‘고려청자 바가지 매입’ 사건으로 톡톡히 덕을 보았다. 이 문제로 한참 시끄러울 때 사건의 주인공인 고려청자를 보러온 사람도 있었으니 말이다. 이렇게 유명세를 탄 고려청자는 전 세계에서 강진군만이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루아침에 몸값이 10배 이상 널뛰기한 청자를 어디서 보거나 들은 적이 있는가? 이쯤 얘기했으면 뭔가 떠오르는 생각이 있을 것이다.


    경박스러움보다는 진중한 대응이 필요
    성윤환 의원이 ‘강진청자 바가지 매입’을 거론했을 때 강진군이 들끓었다. 이때 강진 군민 중 일부는 황주홍 군수의 대응을 나무랐다. 그들은 황주홍 군수가 “우리가 좋아서 그 청자를 매입했고, 우리는 그 청자가 고가인 것을 믿고 있으며,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해 주기 바랐다. 그런데 사건은 그들의 바람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가짜도 진짜로 만들어 몇 억을 받는 세상에 강진군이 호들갑을 떨어 자신들의 귀한 청자를 헐값의 싸구려 청자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강진 군민들은 이 책임을 최건 씨와 고려청자 원소장자에게 돌리고 있으나 근본적인 책임은 강진군에 있다. 만약 고려청자가 진품이라면 최건 씨와 고려청자 원소장자가 입는 피해는 강진군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이 사건에서 어떤 길을 선택하느냐와 그에 대한 결과는 온전히 강진 군민 모두의 몫이다. 부디 합리적이고 현명한 판단을 하기 바란다.


    <전라닷컴 윤승현>

    • 관리자 news@jeolla.com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